반응형
IRP와 연금저축, 왜 지금당장 시행해야할까?
요즘 IRP나 연금저축 가입하라는 얘기 많이 들으셨죠?
매년 연말정산 시즌이 되면 매번 듣는 말인데.
막상 넣자고하니 잘 안넣어 지더라구요.
하지만 매달 적금처럼 버릇이 되도록 모아가야하는 이유.
오늘 그 얘기를 풀어볼게요.
1. IRP와 연금저축, 세액공제 혜택부터 짚자
IRP와 연금저축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상품이에요.
연금저축
최대 600만 원까지 납입 금액의 13~16.5%를 돌려받을 수 있어요.
IRP
최대 300만 원까지 공제 가능
연금저축과 IRP를 합치면 최대 900만 원까지
절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
2. 보험, 신탁, 펀드 중 뭐가 좋을까?
우선 연금저축에는 3가지 종류가 있어요
보험, 신탁, 펀드에 넣어 굴릴 수 있는데 이중 펀드가
인플레이션 방어 및 수익률 면에서 좋기에
대부분 직장인들은 펀드에 투자하고 있어요.
보험
안정적이긴 하지만, 수익률이 낮음.
거의 원금 수준으로 유지된다고 보면 됩니다.
신탁
금리가 고정되어 있어서 큰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워요.
펀드
주식, 채권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해서
수익률이 높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
사실 연금저축은 장기 투자 상품이기 때문에,
시간이 많을수록 펀드처럼 수익률 높은 상품에 투자하는 게 유리해요.
더군다나 복리 효과로 인해 자산이 크게 불어납니다.
국민연금 고갈 위험 등 나중에 우리가 은퇴를
할 시점, 연금저축펀드와 IRP는 우리 인생을
서포트해주는 고마운 존재가 될거에요.
우리같이 세액공제도 받고 미래를 대비할겸
소소한 금액이라도 천천히 시작해보는게 어떨까요?
이만 쏘야였습니다. 감사합니다.
반응형
'경제 정보 꿀단지🍯 > 투자절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태크 종류 중 1순위 구글애드센스 처음부터 시작하는법 (6) | 2025.02.28 |
---|---|
2025년 신용카드 숨은 혜택 100% 활용하는 법 (4) | 2025.02.26 |
해외양도세 저리가라! 분리과세의 끝판왕 ISA계좌🍯 (13) | 2025.01.22 |
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시작 3분만에 연말정산끝내기 (4) | 2025.01.20 |